반응형

어획량 감소 2

고등어, 8천원에서 1만 5천원? 밥상 물가 비상! 국민 생선, 이대로 사라지나?

국민 생선 고등어의 위기: 가격 급등의 원인저렴한 가격과 풍부한 영양으로 국민 생선으로 사랑받던 고등어의 지위가 흔들리고 있습니다. 어획량 감소로 인해 가격이 급등했기 때문입니다. 통상 만원도 채 하지 않던 고등어구이였지만, 최근에는 1만5000원을 넘는 식당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기후 변화가 불러온 나비 효과: 수온 상승과 어획량 감소가장 큰 원인은 기후 변화로 인한 수온 상승입니다. 한반도 해역은 세계 평균보다 3배나 빠르게 뜨거워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이 지속된다면, 명태, 오징어, 갈치에 이어 고등어마저 우리 밥상에서 사라질 위기에 놓입니다. 가격 상승의 구체적인 증거: 데이터로 살펴보는 고등어 가격 변화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자료에 따르면, 2025년 7월 기준 국산 염장..

이슈 2025.07.05

꽃게 어획량 급감, 어민들 초비상! 수온이 원인?

연평도 꽃게 어획량, 저수온의 영향인천 연평도 인근 어장에서의 꽃게 어획량이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90% 가까이 급감했습니다. 연합뉴스의 보도에 따르면, 4월 한 달 동안의 어획량은 7807㎏으로, 지난해 같은 달의 7만4154㎏에 비해 89.5% 감소한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봄철 꽃게잡이철 첫 달 어획량이 1만㎏을 밑돈 것은 2020년 이후 처음 있는 일입니다. 낮은 수온이 어획량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며, 서해 수온이 지난해에 비해 대체로 1도 안팎으로 낮았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수온 저하로 꽃게 이동 지연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에 따르면, 꽃게는 3월에 월동을 마치고 4월에는 서해 연안으로 이동해야 하지만, 낮은 수온으로 인해 이들의 이동이 지연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

이슈 2025.05.0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