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산림청 3

10일 간의 대형산불, 철저히 관리하지 못한 산림청의 책임과 개선 방향

지난 10일 간 영남지역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은 단순한 자연재해가 아니라 인재로 지적되고 있습니다.특히, 전문가들은 산림청의 관리 부실과 산불 대응 체계의 이원화가 이번 재해의 주요 원인이라고 강조합니다. 부산대 조경학과 홍석환 교수는 산불의 발화 원인부터 대형 산불로 이어지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서, 소나무가 가진 특성과 산림 관리의 잘못된 방향성을 지적했습니다. 그의 설명에 따르면, 소나무는 정유 물질로 인해 산불에 더 취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장기적으로 대형 산불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초래합니다.  산림청이 진행한 ‘숲 가꾸기 사업’은 경제성을 고려하여 소나무 위주로 진행되어 왔습니다.이는 오히려 산림을 건조하게 만들어 화재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습니다. 그동안 강릉, ..

이슈 2025.03.30

“경북 대형 산불, 4만5천170㏊ 타격…산불 피해 극복을 위한 실행 방안”

최근 경북 지역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이 4만5천170㏊의 산림에 영향을 미쳐 많은 피해를 안겼습니다.이번 산불 사건은 단순한 자연재해가 아닌, 우리의 소중한 자연과 미래를 지키기 위한 경각심을 일깨우는 사건으로 여겨져야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행히 산림청의 신속한 대응으로 산불 진화율이 85%에 달하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산불의 발생 원인은 다양합니다.대표적으로는 건조한 기후와 강한 바람이 결합해 산불이 발생하기 쉬운 환경을 조성하거나, 인간의 실수로 인한 화재가 많은 경우입니다. 이번 경북 지역의 산불도 이러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산불은 단순히 불길만의 문제가 아니라, 지역 생태계와 주민의 삶에도 막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예방 및 대응 체계가 무엇보다 중요..

이슈 2025.03.28

지리산 산불 확산, 험준한 자연 속 긴급 진화의 중요성

지리산 국립공원 방향으로 확산되는 경남 산청군의 산불 상황은 현재 긴급 대응이 절실히 요구되는 상황입니다.26일 밤사이 불길이 축구장 42~56개에 달하는 면적을 태워버렸으며, 산림당국은 미군의 대형 헬기를 투입하여 진화에 나섰습니다. 하지만 악천후로 인해 헬기의 출동이 지연되고 있습니다.  국립공원 내 화마의 영향력은 30~40ha에 이를 것으로 보이며, 산림 당국은 깊은 산속에서 발생한 불길에 대해 정확한 상황 파악이 어렵다고 전했습니다.통상적으로 진화가 어려운 지역으로 알려진 지리산은 멸종위기 야생동물인 반달가슴곰의 서식지이기도 하여, 고유한 생태계 보존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습니다.  박완수 경남지사는 산불 상황에 대한 중앙정부의 신속한 지원을 요청하며, 전문가들은 험준한 지형과 바람의 영향..

이슈 2025.03.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