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기 침체 4

작년 폐업자 100만 명 돌파, 소매업·음식점 '겨울' 오나

사상 최대 폐업, 그 배경은?지난해 폐업을 신고한 사업자가 100만 명을 넘어서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1995년 통계 집계 이래 처음 있는 일로, 그 심각성을 보여줍니다. 전년 대비 2만여 명이 증가한 100만 8,282명이 폐업을 선택했습니다. 폐업률 또한 2년 연속 상승하여 9.04%를 기록했습니다. 이러한 수치는 단순히 숫자를 넘어, 우리 경제의 어두운 단면을 드러냅니다. 소매업과 음식점업, 가장 큰 타격특히 가계소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소매업과 음식점업이 직격탄을 맞았습니다. 전체 52개 업종 중 소매업 폐업자가 29만 9,600여 명으로 가장 많았고, 음식점업, 부동산업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소매업과 음식점업 폐업자의 비중은 무려 45%에 달하며, 그 어려움을 여실히 보여..

이슈 2025.07.06

절규하는 소상공인: 최저임금 동결 호소, 생존 기로에 선 그들의 이야기

벼랑 끝에 선 소상공인들의 외침내년도 최저임금 논의가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중소기업·소상공인들이 “최악의 경영난을 겪고 있는 상황을 고려해 내년도 최저임금을 동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폐업과 빚, 생존을 위협하는 현실“우리처럼 작은 식당에서는 인건비가 오르면 더 이상은 못 버텨요. 과도한 인건비 부담, 숨통을 조이다“사업주들은 시급 외에도 주휴수당, 퇴직금, 4대보험 등 의무적으로 줘야 하는 인건비 항목이 많고, 최저임금 인상되면 그 비용들이 줄줄이 인상되는데 사업주들의 인건비 부담이 과소평가되고 있는 것 같다”라며 “최저임금이 동결되고 주휴수당 부담만 적어져도 숨통이 트일 것”이라고 말했다. 최저임금 인상, 사업 포기의 절망“누군가는 최저임금도 못 줄 거면 사업을 접으라고 하는데, 그..

이슈 2025.06.23

어린이날, 사라진 어린이들: 완구 및 문구업계의 위기

어린이날이 사라진 이유어린이날이 다가오면 장난감과 문구업계는 통상적으로 큰 매출을 기대하곤 했습니다. 그러나 최근 통계에 따르면 어린이 수가 최저치를 기록하면서 관련 업계는 심각한 위기에 봉착했습니다. 한 장난감 가게 대표는 “(5월) 3, 4, 5일이 가장 바빴죠. 그런데 이제는 그런 시기가 없어진 것 같아요”라고 말했습니다. 특히 저출생 현상이 생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상황입니다. 현재 많은 가게들이 폐업을 고려하고 있으며, 재고를 털어내기 위한 할인 행사도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경기 침체와 저출생의 이중고현재 문구점과 장난감 가게들은 경기 침체와 저출생 현상으로 인해 심각한 타격을 받고 있습니다. 한 문구점 대표는 “이대로 가면 이 시장이 없어질 것 같다”며 우려를 표했습니..

이슈 2025.05.06

소비자들이 외면하는 마트와 외식, 경기 침체의 심각한 징후

소비 감소의 이례적 현상마트와 식당에서의 소비가 동시에 줄어드는 이례적인 현상이 2년째 지속되고 있습니다. 통계청의 자료에 따르면, 음식료품 소매판매지수와 음식점업 생산지수는 2023년부터 지속적으로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2006년 관련 통계 집계 이후 처음 있는 일입니다. 일반적으로 음식료품과 외식 소비는 서로 보완적인 관계를 유지해 왔으나, 현재 상황은 이와는 대조적입니다.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외식이 급감하면서 집밥 수요가 늘어났지만, 지금은 두 소비 모두가 줄어드는 상황입니다. 고물가가 부추기는 소비 위축2021년까지 음식료품 소매판매는 매년 증가했으나, 2022년부터는 2.5% 감소세로 돌아섰습니다. 특히, 올해 1분기에는 음식료품 소매판매가 전년 동기 대비 0.3% 감소했습니다..

이슈 2025.05.0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