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후보들의 경제 공약, 재정 부담은?
최근 대선 후보들이 발표한 경제 공약은 재정 건전성에 대한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아동수당을 18세까지 확대하고, 농촌기본소득을 도입하는 등의 공약을 내세우며 재정 투입을 통한 성장을 강조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을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재원 조달 방안은 명확하지 않아, 정치권과 예산정책처에서는 추가 재정 소요가 30조 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하고 있습니다. 반면,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는 감세를 통해 경제 활력을 높이겠다는 공약을 제시했습니다. 법인세와 소득세 인하를 통해 세수 감소가 예상되며, 이에 따른 재정 부담이 우려되고 있습니다.
아동수당 확대의 재정적 영향
이 후보가 제안한 아동수당 확대는 현재 0~7세 아동에게 지급되는 월 10만 원을 18세까지 점진적으로 상향 조정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연간 약 8조 3천억 원의 추가 재정 소요가 발생할 것으로 보이며, 5년간 총 41조 5천억 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러한 아동수당 확대는 생애주기별 소득 보장 체계 구축의 일환으로, 전반적인 재정 부담을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됩니다.
농촌기본소득 공약, 재원 조달은?
이재명 후보는 농촌기본소득을 월 15만~20만 원으로 설정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를 통해 약 260만 농업인에게 연간 180만 원을 지급할 경우, 5년간 23조 원 이상의 재원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정부는 이러한 대규모 재정 투입에 반대하고 있으며, 재원 조달 방안이 불투명하여 실현 가능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감세 공약의 비극, 세수 감소
김문수 후보의 감세 공약은 법인세와 소득세를 인하하는 방향으로 설정되었습니다. 법인세를 24%에서 21%로 내린다면, 5년간 세수가 21조 원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종합소득세 물가 연동제를 도입할 경우, 5년간 추가로 31조 7천억 원이 줄어들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감세 정책은 단기적으로는 경제 활력을 높일 수 있으나, 재정 건전성에 미치는 악영향이 우려됩니다.
재정 건전성 악화의 경고
현대경제연구원 주원 경제연구실장은 재정 투입과 감세 공약이 모두 제시되었지만, 구체적인 재원 조달 방안이 부족하다고 지적했습니다. 최근 2년간 세수는 계획보다 87조 2천억 원이 덜 걷혔으며, 올해도 세수 결손 가능성이 높아 재정 건전성이 위협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선 후보들이 과연 어떤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결국, 재정 건전성을 위한 대안은?
대선 후보들의 경제 공약은 모두 표심을 자극하는 내용으로 가득 차 있지만, 그에 따른 재정적 부담은 심각한 문제로 남아 있습니다. 재정 건전성을 유지하기 위한 실질적인 대안이 무엇인지, 후보자들의 진정한 의지가 무엇인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할 때입니다.
많은 분들이 물어보셨습니다
Q.아동수당 확대는 어떤 효과가 있을까요?
A.아동수당 확대는 아동의 생활 안정에 기여할 수 있지만, 재정 부담이 커질 수 있습니다.
Q.농촌기본소득 공약의 실현 가능성은?
A.재원 조달 방안이 불확실하여 실현 가능성이 낮다는 평가가 있습니다.
Q.감세 정책의 장단점은?
A.감세는 단기적으로 경제 활력을 높일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 세수 부족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칸 영화제, 복장 규정 발표! 과거의 노출 경쟁은 어디로? (0) | 2025.05.13 |
---|---|
김건희 여사, 검찰 소환 불출석 의견 전해... 조기 대선 우려 (0) | 2025.05.13 |
여성 출산 가산점 논란, 민주당 의원의 사과와 여성들의 반발 (0) | 2025.05.13 |
칸 영화제의 새로운 드레스 코드: '누드 드레스' 금지의 의미와 파장 (0) | 2025.05.13 |
강릉 급발진 소송, 운전자의 패소와 그 배경을 살펴보다 (0) | 2025.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