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방문진료 의사 부족, 대안을 모색하는 광주 북구의 의료 현실

bdtong 2025. 2. 18. 16:18
반응형

의료진의 고령화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방문진료의 필요성은 더욱 커졌습니다.

특히 고령자들이 많은 지역에서는 의료 서비스를 집에서 제공받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많은 의료 기관에서 방문진료 시스템을 운영하기 어려운 현실에 직면해 있습니다. 광주 북구의 '맑은숨우리내과'를 중심으로 진행된 사례를 통해, 방문진료 의사를 찾기 어려운 이유와 개선 방안에 대해 논의해보겠습니다.

 

 

광주광역시 북구에는 특별한 의료 시설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맑은숨우리내과'라는 병원입니다. 일반적으로 병원은 환자가 내원하여 진료를 받는 곳이지만, 이 병원은 환자를 직접 찾아가는 방문진료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특히, 나이가 많거나 이동이 어려운 어르신들에게 매우 유용한 서비스입니다. 방문진료는 환자들이 자택에서 편리하게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돕기 때문에, 노인들이 집에서 더욱 안전하고 편안한 삶을 영위할 수 있게 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방문진료를 제공하는 의사를 찾는 것은 그야말로 하늘의 별 따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맑은숨우리내과의 원장인 김우진 원장은 관내 50곳의 1차 병원에 연락을 시도했지만, 수락한 곳은 불과 3곳에 불과했습니다. 김 원장은 '방문진료를 하려면 적절한 인력과 자원이 필요하지만, 많은 병원이 이를 감당하기에는 현실적 어려움이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실제로 수많은 동네 의원들은 간호사 대신 간호조무사를 채용하고 있으며, 방문진료를 위해서는 간호사나 사회복지사를 새로 고용해야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추가 인력의 고용은 병원의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킬 뿐입니다. 김 원장은 '현재 환자 수 규제를 완화하고, 병원 수가를 인상하여 의사들이 방문진료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제안했습니다.

 

 

김 원장은 3명의 의사가 있는 상황에서 방문진료를 시작하게 되었고, 현재까지 170여 명의 환자를 진료해왔습니다.

그는 '방문진료를 시작할 때는 적자가 나도 의미가 있다고 생각했다'고 회상하며, '해보길 잘했다'는 자신감이 스며있었습니다. 하지만 방문진료를 늘리기 위해서는 정부의 정책 변화가 필요합니다. 의사 1명당 환자 수를 늘리고, 수가를 인상해야만 방문진료의 질과 양이 동시에 증가할 수 있습니다.

 

 

현행 제도 하에서는 방문진료 의사가 하루에 진료할 수 있는 환자 수가 제한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규제는 의사들이 경제적 수익을 내기 어렵게 만들어 방문진료 활성화를 방해합니다. 김 원장은 '방문진료팀을 꾸리려면 인력이 많이 필요하지만, 적당한 수익이 보장되지 않으면 실질적인 이익이 적다'며 이러한 상황이 지속된다면 더욱 어려워질 것이라고 우려했습니다.

 

 

또한 방문진료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간호사 1명이 담당하는 환자 수를 줄여야 한다는 정보도 들을 수 있었습니다.

방문진료 시, 의사와 간호사가 함께 환자를 방문한 후, 간호사는 개인적으로 다시 방문해야 하는데, 이는 간호사에게 과중한 업무가 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광주 북구의 맑은숨우리내과 사례를 통해 우리는 방문진료 의사의 부족 문제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살펴보았습니다.

고령화 사회에서 방문진료의 필요성이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적절한 정책 개선과 병원 운영 모델이 필요할 것입니다.

 

 

앞으로의 방문진료는 의사와 환자 간의 거리를 줄이고, 환자 맞춤형 서비스로서 더욱 발전해 나가야 할 것입니다.

이를 통해 더 많은 사람들이 안전하고 편안한 건강 관리를 받을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할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