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BM, 반도체 시장의 '게임 체인저'로 부상
최근 마이크론의 '잠재력'을 둘러싼 시장의 평가는 사뭇 달라졌다. 고대역폭메모리(HBM) 분야에서 SK하이닉스 독주를 깰 유력한 후보로 거론될 정도다. HBM이 수년간 이 시장을 좌지우지할 핵심 제품군으로 떠오르면서 마이크론의 부상은 미국의 반도체 재건에 가장 중요한 요소로 주목받고 있다.
마이크론의 폭발적인 성장, HBM이 이끈다
마이크론은 지난 6월부터 8월(회계연도 4분기) 출 113억2000만달러, 영업이익 39억6000만달러를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각각 46%와 126%나 뛰었다. 마이크론의 폭발적인 성장 뒤에는 핵심 사업영역인 D램의 시장 판도 변화가 있다. 특히 주목받는 부문은 HBM 실적이다.
HBM3E, 마이크론 성장의 핵심 동력
업계에서는 마이크론이 현재 가장 수요가 집중되고 있는 HBM3E 분야에 일찌감치 몰두한 것이 이번 회계연도 4분기 실적부터 반영되기 시작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실제 마이크론은 지난 2023년 이후 생산설비를 HBM으로 돌리고 연구개발(R&D)에 집중하는 등 HBM3E에서 총력전을 펼쳤다. 그 결과 SK하이닉스에 이어 엔비디아의 품질 테스트를 통과했고 다른 고객사로부터 HBM 주문이 쏟아지기 시작했다는 게 업계 판단이다.
차세대 HBM, 경쟁 심화 예상
게다가 향후 HBM의 세대가 바뀌는 시점에서 마이크론이 두각을 나타내는 속도가 빨라질 거라는 관측도 나온다. 다음 세대 HBM인 HBM4를 생산하는 3사(SK하이닉스, 마이크론, 삼성전자)를 가운데 가장 앞서고 있는 곳은 SK하이닉스다. 마이크론은 HBM4 샘플을 출하하는 단계를 완료했고 현재 고객사 검증 절차에 나선 것으로 전해진다.
미국 정부의 지원, 마이크론에 날개를 달아줄까?
이런 가운데 HBM 시장 판도 변화에 영향을 줄 또다른 변수로 미국 정부가 떠올랐다. 반도체 제국 재건을 위해 총력에 나서며면서 마이크론이 수혜를 입을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현재 반도체 산업 핵심인 HBM 시장은 우리나라와 미국 주도로 평정돼 있다.
미국 정부의 'Made in USA' 정책, 마이크론에 기회
대신 '미국 정부의 자산'에 사용되는 반도체는 마이크론 제품을 우선적으로 검토할 수 있다는 진단이다. 현재 미국 정부는 국방부, 에너지부 등에서 슈퍼컴퓨터 등을 제조할 때 미국 내 생산 반도체 사용 확대를 권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미국 정부가 제품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담보해주는 구조가 될 수 있다는 거다.
마이크론, HBM 시장의 새로운 강자로 부상
마이크론이 HBM 시장에서 SK하이닉스의 강력한 경쟁자로 떠오르며, 미국 정부의 지원과 함께 'Made in USA' 정책의 수혜를 입을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HBM3E 분야에서의 성공과 차세대 HBM4 개발 경쟁, 그리고 미국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은 마이크론의 성장을 가속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마이크론의 HBM 시장 점유율은 얼마나 될 것으로 예상되나요?
A.HBM4 양산 시점에 시장 2위 자리를 굳힐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있습니다.
Q.미국 정부의 지원이 마이크론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A.'Made in USA' 반도체 우선 사용 정책을 통해 마이크론의 매출 증가와 시장 지위 강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Q.HBM4 경쟁에서 SK하이닉스가 여전히 우위를 점할까요?
A.HBM4에서도 SK하이닉스가 우위에 설 가능성이 높지만, 이전 세대 HBM만큼 압도적인 성적은 내지 못할 것이라는 전망도 있습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항 해수욕장 주차장, 캠핑족의 '3칸 점유' 논란: 주차 에티켓은 어디로? (0) | 2025.10.09 |
---|---|
베트남을 뒤흔든 '하나님의교회' 불법 활동 적발: 사회 불안 야기, 엄중 대응 (0) | 2025.10.09 |
층간소음 갈등, 끓는 기름과 흉기로 이어진 비극: 징역 3년 선고 (0) | 2025.10.09 |
17억 아파트, 5억 높여도 '줄 서는' 사람들? 급등하는 서울 아파트 시장의 현주소 (0) | 2025.10.09 |
용머리해안 '충격'…천연기념물에서 벌어진 중국인 관광객의 '무개념' 행동, 무엇이 문제였나 (0) | 2025.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