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고물가 시대, 졸업식 꽃다발 소비 변화와 중고 거래 솔루션

bdtong 2025. 2. 10. 11:31
반응형

최근 경기가 악화되고 소비 심리가 위축됨에 따라 졸업식 시즌에도 꽃다발 구매가 급감하는 모습이 포착되었습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의 화훼 유통정보에 따르면, 절화 거래량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2% 가까이 줄어들었으며, 경매 금액 또한 34% 감소했습니다. 이는 졸업식을 앞둔 시점에서 소비자들이 느끼는 가격 부담이 주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고물가에 시달리는 소비자들은 '가심비'(가격 대비 만족도)를 중시하기보다는 '가성비'를 더욱 중요하게 여기게 되었고, 이에 따라 중고 꽃다발이나 대체 상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졸업식 동안 소비자들이 최대 5만원에서 8만원 사이의 가격을 지불해야 하는 생화 꽃다발 대신, 중고 거래 플랫폼에서는 사용 후 판매되는 꽃다발이 1만원에서 2만원 사이의 저렴한 가격으로 거래되고 있어 이목을 끌고 있습니다.

서울 동대문구의 한 꽃집에서는 꽃다발 가격이 비쌀수록 구매를 꺼리는 소비자들이 늘어나고 있으며, 이는 예전 같았으면 예약이 쏟아지던 시기와는 대조적입니다.

 

 

과거에는 졸업식 때마다 수많은 꽃다발 주문이 있었으나, 현재는 하루에 한두 건의 주문이 있을까말까 한 상황입니다.

경기가 안 좋고 소비자들이 경제적 압박을 느끼는 가운데, 소비자들은 비누 꽃다발이나 인형 꽃다발 같은 대체 상품을 찾아 변화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대체 상품들은 생화에 비해 가격이 5만원 이상 저렴하고, 생화보다 더 오랫동안 보존할 수 있어 많은 학부모들이 선호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홍주 숙명여대 소비자경제학과 교수는 "소비자들이 가슴비 위주의 소비에서 가성비 중심으로 이동하고 있으며, 이는 불확실한 경제 상황과 관련이 있다"고 분석하였습니다.

이러한 경향은 내년 하반기까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며, 그 이후에 소비자들이 다시 가슴비 소비로 돌아갈 가능성이 높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러한 소비 패턴과 함께 소비자들에게 필요한 것은 가격이 아닌 가치, 즉 자신이 찾고자 하는 제품의 품질과 사용 기간입니다.

이를 통해 소비자들은 자신의 경제적 부담을 덜며, 동시에 높은 만족도를 끌어낼 수 있는 제품을 선택하게 될 것입니다.

 

 

현재의 경제 불황 속에서 소비자들은 싼 가격을 중시하지만, 동시에 품질 또한 간과하지 않으려 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소비자들은 자신의 소비 방식과 선택지를 재설정하고 있으며, 앞으로의 소비 트렌드에 맞춰 소통하고 교류하는 소비 문화도 변화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결론적으로, 고물가 시대에 맞춰 소비자들이 중고 꽃다발과 비누 꽃다발 같은 대체 옵션을 선택함으로써, 혼란한 경제적 상황에서 자신에게 맞는 효과적인 소비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향후 졸업식 시즌과 같은 특별한 행사에서도 더욱 두드러질 것으로 보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