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노동환경 실태, 65%가 '과도한 노동' 호소
SBS 구성원들이 과도한 노동을 하고도 정당한 보상을 받지 못하는 '무료 노동'이 일상화되고 있다고 토로했다. 노동환경 악화가 이어지면서 육체적·정신적 소진을 경험했다는 구성원도 대다수였다. 전국언론노동조합 SBS본부는 지난 6일 발행한 노보에서 노동환경 실태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이번 조사는 2023년 1월 노사가 합의한 '시간외근무수당 및 유연근무제 협약' 3년 유효기간 만료를 앞두고 진행됐다. SBS, SBS A&T, 스튜디오프리즘, 스튜디오S 등 SBS미디어그룹 소속 조합원을 상대로 9월22일부터 10월1일까지 10일간 진행된 조사에 총 303명이 응답했다.

주 81시간 이상 근무, 숨 막히는 현실
조사에 따르면 약 65%의 조합원들이 노동 강도가 과하다고 답했다. 3개월 평균 주당 근무시간이 52시간 이상이라고 답한 조합원도 절반 이상이었다. 일주일간 81시간 이상 일한다고 답한 인원도 6.6%나 있었다. SBS본부의 3년 전 조사와 비교했을 때 약 2% 증가한 수치다.

눈치 보며 숨기는 야근 수당, 곪아가는 고통
상당수 조합원은 법정 근로시간을 초과하는 노동을 하고도 초과근무 시간을 입력하지 못하고 있었다. 초과근무 수당을 입력할 수 있는 조합원 중 43.8%가 '모두 입력하지 않을 때도 있다'고 답했다. 조합원들은 그 이유로 '눈치가 보여서', '결재권자가 시간외 수당에 대해 예민하게 반응해서', '퇴근 후 집에서 업무 보는 경우는 입력하기 애매해서', '입력 기간(10일)이 지나가면 하지 못해서' 등을 꼽았다.

OFF 제도의 그림자, '공짜 노동'의 일상화
최대 근무시간을 초과했음에도 'OFF'를 내고 근무하는 식으로 사실상 무료 노동을 하거나 근무시간을 이월해 입력하는 경우도 있었다. 'OFF' 제도는 한 달 혹은 분기별로 법정 근로시간 총량을 다 채웠을 경우 본인 휴가가 아닌 'OFF'를 써서 근무시간을 조정할 수 있는 휴무 제도다. 그러나 절반 이상의 조합원들은 자율적 OFF 사용이 어렵다고 답했다. '눈치가 보인다'는 의견이 상당수였다. SBS본부는 "고질적인 인력 부족으로 개인의 정당한 OFF 사용조차 여러 사정을 고려해야 하는 구조적 문제가 기저에 깔려있다"고 지적했다.

부당한 지시와 압박, 무너지는 일과 삶의 균형
특히 상사 또는 관계자로부터 부당한 지시나 요구, 부적절한 부탁 등을 경험했다는 답변이 약 30%에 달했다. 본인 임기 중에는 리프레시 휴가(근속한 지 만 5년이 된 사원급 직원에게 일정 기간의 휴식을 제공하는 제도)를 사용하지 말라고 지시한다거나 철야 근무로 퇴근한 이후 업무를 지시하는 식이다. 업무량과 상관없이 무조건 시간 내 완수를 지시하거나 연장 근무를 강요하고, 주말에 무조건적 대기를 지시했다는 증언도 나왔다.

유연근무제의 허와 실, 잦은 야근과 부족한 휴식
SBS는 △주 52시간 근무가 가능한 '통상 근무제' △1개월 기준으로 주당 52시간 근무를 맞추는 '선택 근무제' △3개월 기준으로 주당 52시간 근무를 맞추는 '재량B근무제' △시간 제한 없이 근로자가 자신의 근로 시간을 정하는 '재량A근무제' 등을 선택할 수 있는 'SBS형 유연근무제'를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번 조사에서 한 달에 5일도 쉬지 못한다고 답한 조합원이 34%였다. 한 번도 쉬지 못했다고 답한 비율도 4%였다. SBS본부는 "계엄 사태와 대선 이벤트가 이어진 여파로 해석된다"며 "일과 가정의 양립이란 가치가 무너지는 수치인 것은 물론 직원 개개인의 건강권이 침해되는 수준"이라고 비판했다.

정당한 보상 요구, 악화된 노동환경 개선 절실
약 72%의 조합원은 시간외수당이나 유연근무제 수당이 적정하지 않다고 답했다. 특히 법적 시간외수당(통상임금의 1.5배)에 따른 적정 수당 지급을 요구하는 조합원이 많았다. 노동환경 악화가 수년째 이어지면서 과중한 업무, 스트레스로 인한 육체적·정신적 소진을 경험했다는 조합원도 10명 중 7명에 달했다.

SBS 구성원들의 절규, '공짜 노동'과 '인력 부족'의 덫에서 벗어나야
SBS 구성원들은 과도한 노동 시간, 부당한 대우, 부족한 보상 등 열악한 노동 환경에 놓여 있습니다. 노조는 조합원들의 건강권과 정당한 보상을 위해 사측과 협상할 것을 다짐했습니다. SBS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구성원들의 건강과 복지를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SBS 노동환경 관련 자주 묻는 질문
Q.SBS 유연근무제는 실제로 효과가 있나요?
A.조사 결과, 유연근무제에도 불구하고 많은 조합원들이 충분한 휴식을 취하지 못하고 있으며, '공짜 노동'에 시달리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Q.SBS 노조는 어떤 활동을 하고 있나요?
A.노조는 조합원들의 정당한 보상과 건강권 보장을 위해 사측과 협상하고, 열악한 노동 환경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Q.SBS의 노동 환경 문제는 어떻게 해결될 수 있을까요?
A.인력 충원, 부당한 지시 근절, 적정 수당 지급, 충분한 휴식 보장 등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인도네시아 무상급식, '밥에 유리, 반찬에 구더기'…수천 명 식중독 사태, 안전은 뒷전? (0) | 2025.11.10 |
|---|---|
| 25억 있으면 30억 번다? '래미안 트리니원' 청약, 현금 부자들의 로또가 될까? (0) | 2025.11.10 |
| 코스트코 와인 샀는데…'펑!' 터질 수도? 안전 주의보 발령! (1) | 2025.11.10 |
| 100억 원 체납자의 은밀한 사치: 에르메스 가방 60점 압류, 세금 회피는 이제 그만! (0) | 2025.11.10 |
| 명문대생, 챗GPT 부정행위로 얼룩진 시험… 고대, 중간고사 '전면 무효' 결정 (0) | 2025.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