뜨거웠던 한국 증시, 숨 고르기에 들어가다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뜨겁게 달려온 한국 증시의 주요 종목들이 17일 애프터마켓에서 큰 폭으로 하락했다. 미국발 악재가 원인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미국 증시가 반등하며 불안이 가라앉는 모양새다. 코스피는 0.52p(0.01%) 오른 3,748.89에 장을 종료했다.
애프터마켓, 예상치 못한 급락의 그림자
17일 넥스트레이드 애프터마켓(오후 3시 40분~8시)은 한국거래소 종가 대비 1.21% 하락으로 장을 마감했다. 한국거래소 장 마감 후 오후 4~5시께 큰 폭으로 하락했으나 일부 반등했다.
주요 종목들의 하락, 그 이유는?
반도체주의 대장주 격으로 상승했던 SK하이닉스는 정규장 종가(46만5500원)보다 2% 이상 하락한 45만4500원에 장을 마쳤다. 삼성전자도 정규장 종가(9만7900원) 대비 1.63% 하락한 9만6300원에 거래 중이다.
이차전지, 롤러코스터 장세 속 급락
이번 주 가장 뜨거운 상승세를 보였던 분야 중 하나인 이차전지는 쑥대밭이 됐다. 이번 주 5거래일 동안 무려 50% 가량 상승하는 기염을 토했던 에코프로비엠은 정규장 종가(16만1000원) 대비 10% 가량 하락했다가 일부 반등해 15만2900원에 장을 마쳤다. 마찬가지로 같은 기간 50% 가량 상승한 에코프로머티도 정규장 종가(6만5800원) 대비 6% 가량 하락한 6만1700원에 거래를 마쳤고, 17일 상한가에 육박할 정도로 급등했던 에코프로는 정규장 종가(7만3300원) 대비 3.4% 하락한 7만0800원에 거래 중이다.
미국 증시 하락이 불러온 나비 효과
애프터마켓에서 증시가 갑자기 하락하는 이유는 미국 증시 선물이 큰 폭으로 하락한 것이 투심에 악영향을 미친 것 아니냐는 추정이 나온다. 나스닥100 선물은 오후 5시 33분 현재 전장보다 1.34% 하락했다. 반도체주의 대표격인 엔비디아는 프리마켓에서 2.62% 하락 중이며, AMD는 3.7%, 마이크론 테크놀로지는 3.81% 하락 중이다. 전기차 업체 테슬라도 2.71% 하락 중이다.
미중 무역 갈등과 금융 불안, 시장을 짓누르다
지방은행 부실 채권이 급증하는 등 금융 불안 우려가 급부상한 것이 부담 요인으로 작용한 가운데, 마이크론이 중국 내 데이터센터에 서버용 반도체 공급 사업을 전면 중단한다는 소식이 전해져 미중 무역 갈등이 부각된 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미국 증시 반등, 월요일 증시 전망은?
다만 미국 증시는 한국의 애프터마켓이 문을 닫은 이후 반등했다. 한국시간 오후 10시57분 기준 뉴욕 증시 3대 지수인 다우존스, S&P500, 나스닥 모두 하락을 딛고 올라서 강보합인 상황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보도된 폭스비즈니스 인터뷰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2주 안에 만날 것”이라며 미중 정상회담 가능성을 언급했고, 중국에 11월 1일부터 부과하겠다고 밝힌 100% 관세에 대해 불가피한 결정이었다 하면서도 “지속 불가능하다”며 중국을 향해 유화적인 메시지를 보냈다.
결론: 롤러코스터 장세 속, 월요일 증시의 향방은?
애프터마켓의 급락과 미국 증시의 반등, 미중 무역 갈등과 금융 불안 등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월요일 증시에 대한 불확실성은 여전히 남아있다. 투자자들은 변동성에 유의하며 신중한 접근이 필요해 보인다.
자주 묻는 질문: 궁금증 해결!
Q.애프터마켓에서 왜 주가가 하락했나요?
A.미국 증시 선물의 급락, 미중 무역 갈등, 금융 불안 우려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Q.미국 증시가 반등했는데, 월요일 증시도 오를까요?
A.미국 증시의 반등은 긍정적인 신호지만, 여러 불확실성 요인들이 남아있어 단정하기 어렵습니다.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Q.어떤 종목에 주목해야 할까요?
A.반도체, 이차전지, 로봇주 등 하락폭이 컸던 종목들의 반등 여부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다만, 개별 종목 투자 시에는 충분한 정보 수집과 신중한 판단이 중요합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빚투, 또 연중 최대치 경신! 삼성전자·SK하이닉스에 쏠린 빚, 과연 괜찮을까? (0) | 2025.10.18 |
---|---|
전한길, 이코노미스트 인터뷰 후 '사회주의자' 의심 받아… 한국 사회 양극화 단면 (0) | 2025.10.18 |
캄보디아 구금 한국인 64명, 전세기 탑승 후 즉시 체포… 송환 과정 상세 분석 (0) | 2025.10.18 |
부동산 시장의 변곡점: 보유세 인상 논의와 시장 전망 (1) | 2025.10.18 |
모델의 꿈, 비극으로 끝나다: 태국에서 장기 적출로 사망한 벨라루스 여성의 안타까운 사연 (0) | 2025.1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