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김여정, 이재명 정부에 '관심無' 선언: 韓과 마주 앉을 일 없다

pmdesk 2025. 7. 28. 10:21
반응형

북한 김여정, 이재명 정부에 대한 첫 공식 입장 발표

북한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이 이재명 정부에 대해 강도 높은 비판을 쏟아냈습니다. 김 부부장은 28일, '조한관계는 동족이라는 개념의 시간대를 완전히 벗어났다'는 제목의 담화를 통해 이재명 정부의 대북 정책에 대한 입장을 밝혔습니다. 그녀는 이재명 정부가 아무리 '동족 흉내'를 내더라도 한국에 대한 북한의 인식에는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못 박았습니다.

 

 

 

 

대화 거부, '관심 없다' 선언: 남북 관계 개선 노력에 찬물

김 부부장은 이재명 정부가 북한의 관심을 끌기 위해 노력해도 소용없다고 일축했습니다. 그녀는 한국과 마주 앉아 논의할 문제조차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습니다이는 이재명 정부의 남북 관계 개선 노력에 찬물을 끼얹는 발언으로 해석됩니다북한은 이재명 정부의 대북 유화 제스처를 평가 절하하며, 대화 의지가 전혀 없음을 공식적으로 선언했습니다.

 

 

 

 

흡수통일 망령 비판: '정신적 포로' 표현

김 부부장은 이재명 정부를 '흡수통일이라는 망령에 정신적으로 포로된 한국 정객'이라고 비판했습니다. 그녀는 통일부 정상화를 시대적 과제로 내세운 것을 언급하며, 한국 정부의 본질적인 변화는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이는 이재명 정부의 대북 정책에 대한 근본적인 불신을 드러내는 대목입니다.

 

 

 

 

한미 동맹 맹신 비판: '선임자와 다를 바 없다'

김 부부장은 이재명 정부가 한미 동맹을 맹신하고 대결을 기도한다고 비판했습니다. 그는 이재명 정부의 집권 50여일 만에 나타난 행보를 분석하며, '조선반도 긴장 완화'와 '조한 관계 개선'을 외치면서도 한미 동맹에 대한 맹신과 대결 기도는 전임 대통령과 다를 바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대북 방송 중단 평가 절하: '평가받을 만한 일 못 돼'

김 부부장은 이재명 정부의 대북 방송 중단 조치에 대해서도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습니다. 그녀는 '평가받을 만한 일이 못 된다'고 언급하며, 한국이 스스로 초래한 문제들을 해결하는 과정일 뿐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이 역시 이재명 정부의 유화적인 제스처에 대한 냉담한 반응을 보여주는 부분입니다.

 

 

 

 

APEC 회의 김정은 초청 가능성 일축: '헛된 망상'

김 부부장은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계기에 김정은 국무위원장 초청 가능성이 거론되는 것에 대해 '헛된 망상'이라고 일축했습니다. 이는 북한이 이재명 정부와의 대화에 전혀 관심이 없음을 다시 한번 강조하는 대목입니다. 북한의 이러한 입장은 향후 남북 관계에 상당한 난항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핵심만 콕!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이 이재명 정부에 대한 첫 공식 입장을 통해 대화 거부 의사를 분명히 했습니다. 북한은 한국 정부의 유화 제스처를 평가 절하하며, 남북 관계 개선 노력에 찬물을 끼얹었습니다한미 동맹 맹신, 흡수 통일 망령, 대북 방송 중단 등 다양한 문제들을 언급하며 이재명 정부의 대북 정책에 대한 근본적인 불신을 드러냈습니다APEC 회의 김정은 초청 가능성에 대해서도 '헛된 망상'이라고 일축하며, 향후 남북 관계의 어려움을 예고했습니다.

 

 

 

 

궁금해하실 만한 점들

Q.김여정의 담화는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요?

A.김여정의 담화는 이재명 정부에 대한 북한의 첫 공식 입장으로, 남북 관계 개선 노력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을 드러냅니다. 이는 북한이 대화 의지가 없음을 분명히 하고, 향후 남북 관계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Q.북한이 이재명 정부에 대해 비판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A.북한은 이재명 정부가 한미 동맹을 맹신하고, 흡수 통일을 추구하며, 대북 정책에 근본적인 변화가 없다고 비판합니다. 또한, 북한은 이재명 정부의 유화 제스처를 진정성 없는 시도로 간주하고 있습니다.

 

Q.앞으로 남북 관계는 어떻게 될 것으로 예상되나요?

A.김여정의 담화 내용으로 볼 때, 당분간 남북 관계는 개선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됩니다. 북한이 대화 의지를 보이지 않으면서, 남북 관계는 경색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