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폐점, 남겨진 직원과 상인들의 눈물…'긴급 생존' 뒤에 가려진 그림자
폐점 통보, 직원들의 불안한 시작
지난달 13일 오후 2시 반쯤.경기 수원시 영통구에 있는 홈플러스 원천점에서 직원 대상 긴급 설명회가 열렸습니다. 지역 본부장이 업무 시간에 갑자기 일선 직원들을 소집한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설명회에선 지난 3월 기업 회생 돌입 이후 회사의 경영 환경이 매우 좋지 않다, 다달이 매출이 꺾이고 있다는, 새로울 것 없는 이야기가 15분 가까이 이어졌습니다.
15개 점포 폐점, '긴급 생존'의 그림자
이윽고 새로운 소식이 전달됐습니다. "우리 점포 영업 종료일은 11월 16일로 결정됐습니다." 비슷한 시각, 홈플러스는 '긴급 생존 경영' 체제에 돌입한다는 보도자료를 냈습니다. '생존' 대책의 핵심, 수원 원천점을 포함한 15개 점포의 폐점이었습니다. 건물 임대주와의 임대료 조정 협상에 진전이 없는 15개 점포를 없애 적자 폭을 줄이겠다는 겁니다.
고용 보장과 위로금, 현실은?
홈플러스는 점포가 문을 닫더라도 고용은 보장하겠다며, 인근 점포로 발령낼 테니 1~3순위를 적은 희망원을 내라고 했습니다. 3백만 원(세전)의 위로금을 주겠다고도 했습니다. 또 폐점을 계기로 퇴직하는 직원에게는 퇴직금과 별개로, 기본급을 기준으로 계산한 고용안정지원금을 주겠다고 했습니다.
200만 원 월급, 1시간 넘는 출근… 현실적인 어려움
A 씨는 "이 근처에서 제일 가까운 가좌점이나 부천여월점으로 가더라도 거의 1시간 정도 걸려 출근을 해야 한다"면서 "직원 대다수가 차가 없는 주부들인데, 집에서 그쪽까지 한 번에 가는 대중교통이 없어 전체 출퇴근에 길게는 3시간 가까이 잡아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입점 상인들의 절망, 날벼락 같은 폐점 통보
폐점하는 홈플러스 점포들은 입점 상인들의 일터이기도 합니다. 이들은 대부분 직원보다 늦게 폐점 통지를 받았습니다. 홈플러스가 지난달 14일과 지난 4일에 각각 발송한 공문을 통해서였습니다. 홈플러스 계산점 입점 상인 B 씨는 "공문 하나 보내고 어쩔 수 없다는 식으로 이렇게 일방적으로 통보를 하니 기가 찬다"면서 "우리끼리는 오죽하면 뉴스 기사 보는 게 더 소식이 빠르다고 한다"고 분통을 터뜨렸습니다.
미흡한 보상, 상인들의 고통
홈플러스는 상인들과 개별적으로 보상 방안을 협의하겠다고 했지만, 전망은 녹록지 않습니다. 홈플러스가 정상 기업이 아닌 '회생 절차 중'인 기업이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홈플러스는 한 입점 상인과의 보상 협의에서 "월 매출의 30%를 순이익으로 보고, 최대 6개월치의 순이익을 보상하는 게 최선의 영업 손실 보상안"이라고 밝힌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MBK에 대한 비판과 정치권의 역할
홈플러스일반노동조합은 "MBK가 투자하면 홈플러스 15개 점포는 폐점하지 않아도 되며, 수익 구조를 개선할 수 있다"면서 "MBK 김병주 회장과 김광일 부회장은 MBK의 역할없이 현장 노동자의 희생을 통해 위기를 극복하려고 한다"고 비판했습니다.
결론: '생존'을 위한 결정, 그 뒤에 가려진 상처들
홈플러스의 폐점 결정은 기업의 생존을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었을지 모릅니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겪는 직원과 상인들의 고통은 간과할 수 없는 현실입니다. 고용 불안, 생계 위협, 그리고 턱없이 부족한 보상… 이 모든 것이 '긴급 생존'이라는 이름 뒤에 가려진 그림자입니다. 기업의 책임 있는 자세와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그리고 정치권의 관심이 절실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홈플러스는 왜 15개 점포를 폐점했나요?
A.과도한 임대료로 인한 대규모 적자를 해결하고, 기업 회생을 위한 '긴급 생존 경영'의 일환으로 15개 점포 폐점을 결정했습니다. 임대료 협상이 실패한 점포들을 정리하여 적자 폭을 줄이려는 의도입니다.
Q.폐점하는 점포 직원들의 고용은 어떻게 되나요?
A.홈플러스는 고용을 보장하며, 인근 점포로 발령낼 계획입니다. 또한, 위로금과 고용안정지원금을 지급할 예정입니다. 하지만, 장거리 출퇴근, 새로운 환경 적응 등의 어려움이 예상됩니다.
Q.입점 상인들의 보상은 어떻게 진행되나요?
A.홈플러스는 개별 보상 협의를 진행 중이지만, 회생 절차 중인 기업의 특성상 보상 규모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최대 6개월치 순이익 보상안이 제시되었지만, 상인들은 이 보상안에 대해 불만을 제기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