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린스만, 중국에서도 실패? '14억 인구'도 외면하는 그의 추락
중국, 차기 사령탑 후보 클린스만을 바라보는 싸늘한 시선
위르겐 클린스만은 어디까지 추락하게 되는 것일까. ‘14억 대륙’ 중국의 시선에선 파비오 칸나바로보다 못한 지도자다. 중국은 2026 북중미월드컵 진출 실패 후 새로운 지도자를 찾기 위해 노력 중이다. 여러 후보가 언급됐으나 여전히 답은 없다.
클린스만, 중국에서도 성공 보장 못 해… 그 이유는?
최근에는 후안 카를로스 오소리오가 중국 부임설을 완전히 부인하기도 했다. 그는 2018 러시아월드컵 당시 멕시코를 이끌고 독일, 대한민국을 꺾은 감독이다. 하나, 중국의 러브콜을 외면했다. 위르겐 클린스만은 어디까지 추락하게 되는 것일까. ‘14억 대륙’ 중국의 시선에선 파비오 칸나바로보다 못한 지도자다.
중국 매체의 냉정한 평가: 썩은 나무에 희망은 없다
중국 매체 ‘소후닷컴’은 “클린스만이 매우 뛰어난 지도자라고 해도, 그가 ‘노반(중국 고대 전설적인 목수)’이라고 해도 썩은 나무를 아름다운 대들보로 만들 수는 없다. 과도한 기대는 안 된다. (마르첼로)리피조차 중국 축구에 질적인 도약을 가져오지 못했다”고 이야기했다.
중국 축구의 현실: 감독만의 문제 아니다
그러면서 “현재 중국의 전력을 보면 누가 감독이 되더라도 단기간에 성적을 올리기는 힘들다. 팀 사기를 끌어올리는 효과는 기대할 수 있다. 다만 감독의 문제만은 아니다. 선수들의 기술은 제한적이며 훌륭한 전술을 제대로 실행할 수 없다. 지금으로선 다음 세대의 유망주들이 나타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고 덧붙였다.
칸나바로, 클린스만보다 나은 선택?
‘소후닷컴’은 “때로는 클린스만보다 칸나바로가 더 좋은 선택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칸나바로는 중국 선수들을 잘 이해한다. 그리고 중국은 3류 팀으로서 역습에 의존하는 상황이다. 클린스만은 공격적인 스타일을 선호한다. 칸나바로는 역습 전술에 밝다. 물론 클린스만이 중국을 지도한다면 선수들의 규율 및 전술적 완성도를 끌어올릴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밝혔다.
칸나바로의 한계: 지도자로서의 성과 부족
클린스만도 문제가 될 수 있지만 칸나바로도 크게 다르지 않다. 그는 선수로서 성공했으나 지도자로서 아직 성과를 내지 못했다. 실패한 지도자라는 타이틀도 어색하지 않다.
중국 팬들의 우려: 6년 전 실패의 반복?
한 중국 팬은 칸나바로에 대해 “그의 경기 지휘 능력은 늘 한계가 있었다. 6년 전 결과가 되풀이되어선 안 된다”고 우려했다.
결론: 클린스만, 중국에서도 희망은 보이지 않나?
클린스만의 지도자 커리어는 엉망이 된 상황이다. 중국은 2026 북중미월드컵 진출 실패 후 새로운 지도자를 찾기 위해 노력 중이지만, 클린스만에게서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자주 묻는 질문
Q.클린스만이 중국에서 성공할 가능성은?
A.중국 매체와 팬들의 반응을 볼 때, 클린스만이 중국에서 성공적인 지도자 커리어를 이어갈 가능성은 매우 낮아 보인다.
Q.칸나바로가 클린스만보다 나은 선택일 수 있다는 주장의 근거는?
A.칸나바로는 중국 선수들을 잘 이해하고, 역습 전술에 밝다는 점에서 클린스만보다 나은 선택일 수 있다는 평가가 있다.
Q.중국 축구의 근본적인 문제는 무엇인가?
A.감독의 역량 부족뿐만 아니라, 선수들의 기술적 한계, 훌륭한 전술을 실행할 수 없는 점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