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영, 김여정 비난에도 굳건한 평화 의지: 북한 체제 존중과 흡수통일 거부 선언
새 정부의 대북 정책, 1991년 남북 기본합의서에 기반
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14일 이재명 정부의 통일 정책이 북한 체제를 인정하고 존중하며, 북한의 붕괴나 흡수 통일을 추구하지 않을 것이라는 내용을 골자로 한 1991년 ‘남북 기본합의서’에 기반해 추진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 장관은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원코리아 국제포럼’ 축사에서 “새 정부의 대북 정책은 새로운 것이 아니다. 1991년 12월 당시 보수 정부였던 노태우 정부가 북한과 체결한 ‘남북 기본합의서’에 입각한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남북기본합의서 제1~6조를 언급하며 새 정부는 북한 체제를 인정하고 존중하며 내정에 간섭하지 않고 비방과 중상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 체제 존중, 평화 체제 구축 의지 강조
또한 북한 붕괴나 흡수 통일을 추구하지 않고, 평화 체제를 향한 꿈을 포기하지 않고 전진할 것이며 무력을 사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이 이재명 정부의 긴장 완화 조치를 ‘기만극’이라고 혹평했는데도 남북 평화 정착을 위한 정상화 조치를 이어가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한 것이다.
김여정의 비난에도 굴하지 않는 평화 의지
정 장관은 서울 강남구 봉은사에서 열린 ‘광복 80주년 기념 남북의 평화와 화합을 위한 기원 법회’에서 김남중 통일부 차관이 대독한 축사를 통해 “잠깐의 풍랑은 묵묵히 흐르는 해류를 이길 수 없다”며 “요동하는 국제정세나 남북 간의 긴장과 갈등도 이 땅의 진정한 화합과 평화를 향한 올곧은 열망을 결코 꺾을 수 없다”고 말했다.
남북 주민 간의 교류와 협력, 신뢰 회복의 시작
이어 “한반도의 평화는 남북 주민들이 다시 소통하고 만나는 것으로부터 새롭게 시작될 것”이라며 “정부는 남북 주민들 간의 교류와 협력을 일관성 있게, 적극적으로 지원해 나가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민간 부문이 다시 만나 대화하고, 작은 일부터 소통하는 것이 신뢰를 회복하고 화해와 협력의 길로 나아가는 첫 번째 과제”라며 “자유로운 접촉이 서로에 대한 이해를 낳고, 상호 이해가 공존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핵심 요약: 정동영 장관의 평화 구축 의지
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김여정의 비난에도 굴하지 않고, 북한 체제를 존중하며 흡수 통일을 추구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했습니다. 1991년 남북 기본합의서에 기반한 정책을 통해 남북 간의 교류와 협력을 증진하고, 평화로운 한반도를 만들어 나가겠다는 의지를 강력하게 피력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
Q.이재명 정부의 대북 정책은 무엇을 목표로 하는가요?
A.북한 체제를 인정하고 존중하며, 북한의 붕괴나 흡수 통일을 추구하지 않고, 평화 체제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Q.김여정 부부장의 비난에 대한 정동영 장관의 입장은 무엇인가요?
A.김여정 부부장의 비난에도 불구하고, 남북 평화 정착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겠다는 의지를 보였습니다.
Q.남북 관계 개선을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일 예정인가요?
A.남북 주민 간의 교류와 협력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민간 부문의 소통을 통해 신뢰를 회복하고 화해와 협력의 길을 열어갈 계획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