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무원들의 비키니 쇼, 섹시 댄스… 저가 항공사의 위험한 생존 전략
저가 항공, 파격 마케팅의 딜레마
말레이시아 저가항공사 에어아시아가 자체 걸그룹을 앞세운 기내 퍼포먼스로 화제와 논란을 동시에 일으키고 있다. 최근 틱톡에 공개된 영상에는 에어아시아 여성 승무원들이 방콕-푸켓 운항 중 기내 복도에서 댄스 공연을 펼치는 모습이 담겼다. 주목할 점은 공연에 참여한 승무원 중 일부가 에어아시아가 지난 3월 론칭한 5인조 걸그룹 ‘베라(Vera)’ 멤버라는 사실이다. 몸에 밀착된 유니폼과 배꼽이 드러나는 크롭티 차림의 승무원들이 데뷔곡 ‘틱톡(Tick-Tock)’에 맞춰 춤을 추자, 승객들은 휴대폰을 들고 촬영에 나섰다.
엇갈린 시선: 긍정 vs 부정
해당 영상은 게시 직후 폭발적 관심을 받았다. 반응은 극명하게 갈렸다. “승무원의 본업은 안전과 서비스”라는 비판과 “성 상품화 논란”이라는 지적이 쏟아진 반면, “참신한 마케팅”이라며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았다.
비엣젯 항공의 '비키니 쇼' 논란
에어아시아의 기내 퍼포먼스가 화제가 되면서 더 파격적인 마케팅을 펼쳐온 베트남 저가항공사 비엣젯항공의 행보가 재조명받고 있다. 비엣젯항공은 2012년부터 2014년까지 기내 비키니 쇼로 이름을 떨쳤다. 여성 CEO 응우옌 티 프엉 타오의 주도하에 벌인 이 ‘공격적 마케팅’은 베트남 전체 항공 시장 점유율을 38%까지 끌어올리는 원동력이 됐다. 성 상품화 논란으로 한때 중단됐던 비키니 쇼는 2018년 베트남 U-23 축구대표팀의 아시안컵 준우승을 기념하는 특별기에서 부활했다. 하지만 베트남민항청은 “안전운항 위협” 사유로 벌금 200만원을 부과했다.
논란의 연속: 비엣젯의 파격 행보
2018년에는 유명 모델들이 기내와 활주로에서 비키니 차림으로 포즈를 취한 달력까지 제작해 논란을 증폭시켰다. 비엣젯 측은 “섹시한 모델을 고객들이 좋아한다”며 “고품질 서비스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해명했지만, 성 상품화 비판은 계속됐다.
저가 항공의 마케팅 경쟁: 위험한 유혹
비엣젯의 파격 행보는 다른 항공사들의 사례와도 맞닿아 있다. 태국의 노크에어는 자사 브랜드 색상을 강조한다며 비키니 차림 모델을 내세운 광고를 찍어 현지에서 “국가 이미지를 훼손한다”는 비판을 받았다. 러시아 저가항공 아비아노바 역시 승무원들이 비키니를 입고 항공기를 세차하는 장면을 담은 광고로 논란을 일으켰다. 단기적으로는 화제성을 얻었지만, 장기적으로는 “저가항공이 서비스 경쟁 대신 자극적 마케팅에 의존한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웠다.
안전 우선주의: 승무원의 본질적 역할
항공업계에서 승무원의 본질적 역할은 어디까지나 ‘안전요원’이다. 기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 기압 저하, 비상 착륙 등 돌발 상황에 대비해 전문 훈련을 받은 이들이 바로 승무원이다. 일부 항공사의 과감한 퍼포먼스는 ‘안전보다 쇼를 우선시한다’는 인상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논란을 키운다. 업계 관계자들은 “승객들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은 화려한 이벤트가 아니라 안전하고 편안한 비행 경험”이라고 지적한다.
저가 항공, 생존을 위한 위험한 선택
저가 항공사들이 생존을 위해 파격적인 마케팅 전략을 펼치고 있지만, 안전과 서비스라는 본질을 잊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승객들은 안전하고 편안한 비행 경험을 원하며, 승무원은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역할을 다해야 한다.
자주 묻는 질문
Q.승무원의 주요 역할은 무엇인가요?
A.승무원의 주요 역할은 기내 안전을 책임지는 것입니다. 비상 상황 발생 시 승객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전문적인 훈련을 받습니다.
Q.저가 항공사들의 마케팅 전략, 문제점은?
A.저가 항공사들은 단기적인 화제성을 위해 자극적인 마케팅을 펼치지만, 안전과 서비스에 대한 중요성을 간과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장기적으로 기업의 이미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Q.승객들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A.승객들은 화려한 이벤트보다 안전하고 편안한 비행 경험을 원합니다. 안전과 쾌적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승객 만족도를 높이는 핵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