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희토류 무기화에 맞서 '글로벌 동맹' 구축…중국 의존 탈피 가능할까?
중국의 희토류 무기화, 미국을 긴장시키다
미국이 중국의 희토류 무기화에 대응하기 위해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중국은 방위·첨단산업에 필수적인 희토류 수출을 통제하며 '전략무기'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이에 미국은 호주, 일본 등과 '희토류 동맹'을 구축하여 중국 의존도를 낮추고 공급망을 확보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움직임은 미·중 무역 전쟁 속에서 희토류가 핵심적인 전략 자원으로 부상했음을 보여줍니다.

라이너스, 희토류 밸류체인의 핵심 기업
호주 희토류 광산기업 라이너스(Lynas)는 중국을 제외하고 채굴부터 정제, 제조, 수출까지 이어지는 완전한 밸류체인을 갖춘 유일한 기업입니다. 라이너스는 서호주에 세계 최고 등급의 희토류 광산 중 하나인 마운트 웰드 광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말레이시아 공장에서 디스프로슘(Dy)과 터븀(Tb) 산화물을 생산합니다. 이들 희토류는 전기차, 로봇, 풍력발전 모터, 각종 전자기기 등 첨단산업과 방위산업의 핵심 소재로 사용됩니다. 라이너스는 중국 이외 지역에서 중(重)희토류를 상업적으로 분리·생산하는 세계 유일 기업으로서 미국의 희토류 공급망 구축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미국, '희토류 동맹' 구축에 총력
미국은 호주, 일본 등과 '희토류 동맹'을 구축하여 중국의 희토류 공급망을 견제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호주와 '핵심 광물 및 희토류의 안정적 공급망 확보를 위한 미국·호주 프레임워크' 협정을 체결하고, 향후 6개월간 30억 달러 이상을 희토류 등 핵심 광물 프로젝트에 공동 투자할 예정입니다. 또한 일본과도 '미·일 핵심 광물 및 희토류 확보를 위한 채굴·정제 프레임워크' 협정을 맺고 희토류 관련 투자를 촉진하기로 했습니다. 이러한 협력은 중국의 희토류 무기화에 대한 대응뿐만 아니라, 미래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전략적 움직임으로 풀이됩니다.

미국, 동남아시아로 협력 확대
미국은 동남아시아 국가들과의 협력을 통해 희토류 공급망 다변화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정상회의에서 태국, 말레이시아 정상들과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희토류 등 핵심 광물 공급망 다변화를 위한 협력을 강화하기로 합의했습니다. 태국과 말레이시아는 미국 기업에 희토류 매장지에 대한 우선적인 접근을 허용하고, 시장 가격으로 자원을 구매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로 했습니다. 이는 중국 의존도를 줄이고, 안정적인 희토류 공급망을 구축하려는 미국의 노력을 보여줍니다.

중국의 수출 통제 조치와 미국의 대응
중국은 희토류를 무기화하여 미국의 공급망을 압박하고 있습니다. 중국은 희토류 원소 17종 중 중희토류 7종에 대해 수출 허가제를 도입하고, 자국 기술이 적용된 제품의 수출 통제를 강화했습니다. 이에 미국은 중국산 제품에 100% 관세를 추가 부과하는 등 강경 대응을 시도했지만, 추가 관세 부과 유예 등 중국과의 합의를 통해 상황을 조율했습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희토류는 미·중 무역 전쟁의 핵심적인 협상 카드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희토류 공급망 구축의 과제
미국이 희토류 공급망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과 기술이 필요합니다. 골드만삭스는 희토류 광산 개발에 8~10년, 정제 시설 구축에 5년이 소요된다고 분석했습니다.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 조치가 서방의 희토류 산업을 되살리는 계기가 될 수 있지만, 기술력 확보와 투자가 뒷받침되어야 합니다. 미국을 비롯한 G7 국가들은 '핵심 광물 생산 동맹'을 출범하여 중국의 시장 조작에 대응하고 있지만, 중국 의존도를 완전히 탈피하기까지는 많은 난관이 예상됩니다.

미국, 희토류 확보 전쟁의 서막
미국은 중국의 희토류 무기화에 대응하여 '글로벌 동맹'을 구축하고 공급망 다변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호주, 일본 등과의 협력을 통해 중국 의존도를 줄이려 하지만, 희토류 공급망 구축에는 상당한 시간과 기술이 필요합니다. 중국과의 치열한 경쟁 속에서 미국의 희토류 확보 전략이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 주목해야 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미국이 희토류 확보에 나선 이유는 무엇인가요?
A.중국이 희토류를 무기화하여 미국의 공급망을 압박하고, 방위·첨단산업에 필수적인 희토류의 공급을 통제하기 때문입니다. 이에 미국은 중국 의존도를 낮추고 안정적인 공급망을 구축하기 위해 '희토류 동맹'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Q.라이너스는 어떤 기업인가요?
A.호주 희토류 광산기업 라이너스는 채굴부터 정제, 제조, 수출까지 이어지는 완전한 밸류체인을 갖춘 유일한 기업입니다. 라이너스는 미국을 비롯한 서방 국가의 희토류 공급망 구축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Q.미국이 희토류 공급망을 구축하는 데 어려움은 무엇인가요?
A.희토류 광산 개발과 정제 시설 구축에 상당한 시간과 기술, 투자가 필요합니다. 또한 중국과의 치열한 경쟁 속에서 기술력 확보와 안정적인 공급망 구축이라는 과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