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계의 목소리, 대통령에게 정년 연장·4.5일제 지지 호소: 대한민국 노동의 미래는?
노동계의 간절한 외침: 대통령에게 바라는 것은?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이 이재명 대통령에게 정년 연장과 주 4.5일제 도입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을 요청했습니다.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은 4일, 대통령과의 오찬 간담회에서 이러한 건의 사항을 전달하며, 초고령 사회를 대비하고 노동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했습니다. 이는 단순히 노동계의 요구를 넘어, 대한민국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중요한 제언으로 해석됩니다.
정년 연장, 늦출 수 없는 과제: 한국노총의 제안
김동명 위원장은 정년 연장과 관련하여 “초고령 사회로 진입한 한국 사회의 미래를 위해 65세로 정년을 연장하는 것은 단 하루도 늦출 수 없는 과제”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더불어민주당을 중심으로 국회에서 노사정이 깊이 있는 대화를 진행하고 있음을 언급하며, 대통령실의 적극적인 관심을 촉구했습니다. 다만, 현실적인 여건을 고려하여 유연하게 협의에 임하겠다는 입장을 밝혀, 사회적 합의를 위한 노력을 시사했습니다.
주 4.5일제, 노동 시간 단축의 역사적인 첫걸음?
주 4.5일제 도입에 대한 제안도 이어졌습니다. 김 위원장은 “내년을 근로 시간 단축의 역사적인 첫해로 만들어야 한다”고 역설하며, 과감한 주 4.5일제 시범사업 도입을 제안했습니다. 병원, 은행 등에서 노사 간 자율 협약을 통해 즉시 시행하도록 정부의 독려를 요청하며, 노동 시간 단축을 통한 삶의 질 개선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냈습니다.
사회적 대타협, 복합 위기 극복을 위한 해법
복합 위기 극복을 위한 사회적 대타협의 필요성도 강조되었습니다. 김 위원장은 경제 주체들의 과감한 결단을 촉구하며, 대통령이 경제 주체들을 모아 숙의의 시간을 갖고 사회적 대타협을 선언할 것을 제안했습니다. 이는 위기 극복을 위한 사회적 공감대 형성과 공동의 노력을 이끌어내기 위한 중요한 제안으로 보입니다.
민주노총의 외침: 적폐 청산과 사회 대개혁
양경수 전국민주노동조합(민주노총) 위원장은 “정부가 성공하려면 적폐 세력을 청산하고 사회 대개혁을 향해 흔들림 없이 전진해야 한다”고 강력하게 주장했습니다. 그는 노동 주권 보장을 강조하며, 원천 교섭과 초기업 교섭을 통해 노동 시장 이중구조와 양극화를 해소해야 한다고 역설했습니다. 또한, 기후위기와 불평등 노동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면적인 노정 교섭을 제안하며, 노동자의 권익 보호를 위한 적극적인 노력을 촉구했습니다.
노동자를 위한 외교: 행복 메이커를 향하여
양 위원장은 한미 관세협상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역할을 주문하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페이스 메이커'가 아니라 노동자와 서민을 위한 '행복 메이커'가 되시면 좋겠다”고 말했습니다. 이는 노동자의 삶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외교 정책을 펼쳐줄 것을 촉구하는 메시지로, 노동계의 절실한 바람을 담고 있습니다.
노동계의 미래, 대통령의 결단에 달려있다
이번 간담회는 정년 연장, 주 4.5일제, 사회적 대타협 등 노동 현안에 대한 논의를 넘어,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한 노동계의 비전을 제시하는 자리였습니다. 대통령의 결단과 적극적인 정책 추진이, 노동자의 삶의 질 향상과 지속 가능한 사회 발전을 이끄는 중요한 열쇠가 될 것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Q.정년 연장,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이 논의되었나요?
A.한국노총은 65세로의 정년 연장을 제안하며, 국회에서의 논의에 대통령실의 적극적인 관심을 촉구했습니다. 현실적인 여건을 고려하여 유연하게 협의에 임하겠다는 입장도 밝혔습니다.
Q.주 4.5일제 도입, 어떤 기대를 가지고 있나요?
A.김동명 위원장은 주 4.5일제를 통해 근로 시간 단축의 역사적인 첫해를 만들고, 노동자의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다고 기대했습니다. 병원, 은행 등에서 시범사업을 시행하고, 정부의 독려를 통해 확산시키기를 희망하고 있습니다.
Q.민주노총은 어떤 점을 강조했나요?
A.민주노총은 적폐 청산과 사회 대개혁을 강조하며, 노동 주권 보장, 노동 시장 이중구조 및 양극화 해소, 기후위기 및 불평등 노동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을 촉구했습니다. 또한, 노동자를 위한 외교를 펼쳐줄 것을 요구했습니다.